2026년 M365·구글 워크스페이스 연동 그룹웨어 비교

2026년 M365·구글 워크스페이스 연동 그룹웨어 비교

기업이 그룹웨어를 선택할 때 가장 먼저 따지는 기준은 의외로 단순합니다. 지금 쓰고 있는 마이크로소프트 365(M365)나 구글 워크스페이스와 얼마나 자연스럽게 연결되는지, 결재·메일·캘린더·파일 공유 같은 업무 흐름이 끊김 없이 이어지는지, 그리고 도입 후 직원들이 빠르게 적응할 수 있을 만큼 직관적인지 살펴보게 돼요.

여기에 조직의 규모와 보안 요건, 예산까지 맞아 떨어져야 비로소 도입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결국 중요한 것은 단순히 연동 여부가 아니라, 연동 이후 실제 업무가 얼마나 편리하고 매끄럽게 진행되느냐 하는 점입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M365와 구글 워크스페이스 연동을 지원하는 국내 주요 그룹웨어들의 장단점과 특징을 알아볼게요.

2026년 기준, 연동이 가능한 주요 국내 그룹웨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하이웍스 (Hiworks)
  • DB CloudOffice (DB 클라우드오피스)
  • 라인드 (Rind / WithOffice 계열)
  • 나온그룹웨어 (NAON Groupware)
  • 케이큐브온 (KcubeOn)
  • 카카오워크 (Kakao Work)

각각의 장단점과 특징을 하나 씩 살펴보겠습니다.


1. 하이웍스 (Hiworks)

  • 장점: M365·Google 계정 기반 SSO 로그인 연동을 제공해 계정 통합과 로그인 편의성이 높습니다. 국내 시장에서 오래 자리 잡아 안정적인 서비스와 전자결재·메일·근태 관리 등 기본 기능도 충실합니다.
  • 단점: 메일 연동 구조가 POP3 중심이라 Outlook·모바일 메일 앱 사용 시 제약이 있습니다. 특히 Outlook(New)에서는 동기화 주기가 1~3시간 간격으로 설정돼 있어 실시간성에서 아쉬움이 있습니다.
  • 특징: 전통적 국내 그룹웨어의 안정성을 찾는 기업에게 적합하지만, 실시간·글로벌 협업툴 등 3rd party 툴과의 api 호출 등의 통합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2. DB CloudOffice (DB 클라우드 오피스)

  • 장점: 금융·보험 계열사 중심으로 도입된 만큼 보안·안정성을 강조합니다. Google Workspace·M365와의 SSO 및 계정 관리 통합 기능이 있고, ERP·HR 같은 대규모 시스템과의 연동 사례도 많습니다.
  • 단점: 초기 구축 리소스가 많이 필요하고, 중소·스타트업 입장에서는 무겁게 느껴질 수 있는 구조입니다.
  • 특징: 보안과 정책 관리가 최우선인 대기업이나 기관형 고객에게 적합합니다.

3. 라인드(RIND)

  • 장점: M365·GWS와의 실시간 동기화 안정성이 높습니다. 자체 오피스 툴인 WithOffice와 글로벌 SaaS를 함께 쓸 수 있는 하이브리드 협업 환경을 제공합니다. M365 메일·드라이브를 그룹웨어 대시보드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고, Microsoft Teams용 앱도 제공해 활용도를 높였습니다.
  • 단점: 장기간 운영된 솔루션 대비 외부 확장 앱·플러그인 활용이 제한적입니다. (*커스텀 개발 연동을 통해 가능합니다.)
  • 특징: 마이크로소프트 365, 구글 워크스페이스 GWS와 전자결재·업무요청·협업 플로우 전체를 매끄럽게 연결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또한 체험판 제공으로 실제 업무에 맞는지 바로 검증할 수 있습니다.

4. 나온그룹웨어 (NAON Groupware)

  • 장점: M365용·Google Workspace용 버전을 각각 제공해 두 환경 모두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Google 버전은 지메일·캘린더·드라이브를 그룹웨어 안에 직접 끌어와 쓰고, M365 버전은 Teams·OneDrive와 결합됩니다.
  • 단점: 기능 스펙트럼이 심플해 대규모 조직에서는 확장성 부족을 체감할 수 있습니다.
  • 특징: 소규모 기업이나 중소 병원·기관처럼 도입 비용을 아끼면서도 글로벌 SaaS와의 연동을 원하는 곳에 적합합니다.

5. 케이큐브온 (KcubeOn)

  • 장점: Google Workspace 통합 포털 구축에 강점이 있고, SAML 기반 SSO 및 계정 자동화 기능을 강조합니다. LG생활건강 등 대형 고객사의 도입 사례가 있습니다.
  • 단점: 공식 자료 대부분이 Google 중심 통합에 집중돼 있어, M365 환경에서는 구현 범위와 호환성을 별도로 확인해야 합니다.
  • 특징: 전자결재 중심의 그룹웨어를 Google 환경에 맞춰 안정적으로 쓰려는 기업에 적합합니다.

6. 카카오워크 (Kakao Work)

  • 장점: 카카오톡과 유사한 UX 덕분에 도입 장벽이 낮고 적응이 빠릅니다. Google 캘린더 알림 봇, 외부 캘린더 구독(구글·아웃룩·iOS), 메일 POP3/IMAP 연동도 지원합니다.
  • 단점: 전자결재·문서 관리 같은 깊은 기능보다는 메신저와 일정 알림 중심이라, ‘업무 전 과정 통합’ 관점에서는 부족할 수 있습니다.
  • 특징: 빠른 내부 정착이 필요한 커뮤니케이션 중심 조직에 적합합니다.

우리 회사에 가장 맞는 그룹웨어는 무엇일까


여섯 가지 대안은 각기 다른 장점을 갖지만, 결국 중요한 것은 연동 이후에도 불편함이 없는 협업 경험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365, 구글워크스페이스를 연동해 사용하는 라인드는 연동 이후 업무 플로우 전체를 매끄럽게 이어줍니다. 또한 체험판을 통해 따로 전화 문의 등의 절차 없이 실제 환경에서 바로 검증할 수 있다는 점도 큰 장점입니다.

2026년 M365·GWS 연동 그룹웨어를 고민하는 기업이라면 라인드를 직접 체험해 보는 것이 가장 확실한 선택입니다.

Great! You’ve successfully signed up.

Welcome back! You've successfully signed in.

You've successfully subscribed to 휴위드 블로그 : 더 쉽고, 안정적인 업무 환경을 만들어 갑니다..

Success! Check your email for magic link to sign-in.

Success! Your billing info has been updated.

Your billing was not updated.